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강배속
- CentOS
- Dell Venue 8 Pro
- putty
- 파이썬 스톱워치
- ventoy 사용법
- 컨테이너 백업
- VPN
- #Oracle
- CentOS7
- Linux
- 웹영상배속
- Oracle
- 컨테이너 복원
- 영상배속
- GUI 또는 CLI전환
- OTT셋톱박스
- ipvlan
- cubrid
- MySQL
- Windows
- docker container backup
- 시스템예약종료
- cmd인스톨러설치
- 무기력디톡스
- 딜라이브플러스h3
- docker container restore
- docker
- cmd로msi파일설치
- YCSB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2)
일단은 프로그래머 나부랭이
※ 본 게시글은 제가 2016년 4월 28일에 네이버에 작성하였던 글을 가져온것입니다. (원본) 요즘 회사에서 반응형 웹피이지를 구현하고 있습니다.반응형 웹이라는거, 생각해보면 별거 없습니다.특히, 기존의 웹페이지가 구현되어있는 경우에는 아래의 사항에 유의(?)하여 소스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우선은 html파일의 헤더부에 '' viewport 태그를 삽입합니다.이로서 해당 페이지는 접속하는 기기의 해상도에 따라 페이지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됩니다.(글자가 화면 밖으로 삐져나가서 이리저리 스크롤할 일이 없어집니다.) 그리고 이미지나 테이블 같은 경우에는 width나 height값을 px단위가 아닌 %단위로 설정한다면, 역시 기기 해상도에 따라 크기가 조절됩니다.단, 이미지의 경우 이미지 자체 해상도등에 따라..
XSS란, Cross site scripting 줄임말로, 웹 상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우리가 인터넷으로 어떤 사이트에 들어간다는 것은 해당 페이지가 저장된 서버에서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요청하고, 그것을 웹 브라우져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는 것이다. 그런데, 서버와 웹 브라우져 사이에 '교묘하게 악의적인 코드를 삽입하여, 남에게 피해를 준다'면? 당연히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쾌하면서도, 당황스러울수 밖에 없다. 이러한 공격방식을 XSS 공격이라고 한다.(그리고 흔히 말하는 악성코드가 바로 이거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누군가 나에게 이메일을 보냈다. 그런데 그 메일은 겉보기에는 지인이 안부를 전하는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내 이메일 계정과 패스워드를 해킹하기 위한 코드가 ..
가끔 쿼리를 돌리다보면 A테이블의 값들중에 B테이블에 없는 값을 찾아야할 때가 있다.예를들면 이런 경우다 A테이블1 2 3 B테이블 1 2 이렇게 A, B테이블이 있다고 할 때 A테이블에서 B테이블에 없는 값만 찾기 위해서는'SELECT * FROM A MINUS (SELECT * FROM B)'라고 쓰면 된다. (결과는 당연히 3이 나온다) 물론 A나 B 테이블에 WHERE절을 넣을수 있음은 당연하다. p.s: 이걸 몰라서 where절에 '!='걸 넣는 시도를 해본바로서 말하는데 '!='로 불일치를 찾으려하지말자, 엄청 오래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