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ySQL
- ipvlan
- GUI 또는 CLI전환
- 딜라이브플러스h3
- ventoy 사용법
- #Oracle
- VPN
- 인강배속
- Oracle
- docker
- YCSB
- CentOS
- docker container restore
- 영상배속
- cmd인스톨러설치
- cubrid
- 컨테이너 복원
- OTT셋톱박스
- putty
- CentOS7
- 파이썬 스톱워치
- docker container backup
- Dell Venue 8 Pro
- Windows
- 무기력디톡스
- 웹영상배속
- 컨테이너 백업
- Linux
- 시스템예약종료
- cmd로msi파일설치
- Today
- Total
목록Linux (25)
일단은 프로그래머 나부랭이
어떤 망x 놈들이 자꾸 회사 홈피에 공격 및 침입시도를 합니다. 이 때문에 몇가지 확인 방법을 간략히 정리해둡니다. (아래의 내용은 centos 7.x 기준이며, OS에 따라 경로나 파일명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1. 접속자 체크 (w) : 서버에 현재 접속중인 유저 목록을 보여줍니다. 접속 경로 및 로그인 일자까지 나타나며, 지금 수행중인 command도 보여줍니다. 2. 최근 접속 기록 체크 (last -n 10) : 서버에 최근 접속한 이력을 보여줍니다. 'last -n 10'을 하면 최근 10건의 접속 시도 이력을 보여주지만, 그 이상의 수치도 가능합니다. 3. log 체크 (vim /var/log/messages, vim /var/log/secure) : 서버의 로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두..
심볼릭 링크란, windows의 바로가기와 같다. 다만, linux에서는 cmd상에서 바로가기를 생성한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ln -s [원본 파일] [링크 파일] 이렇게 하면 링크 파일은 원본 파일을 가르키게 된다. 만약, 원본 파일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Tfs 옵션을 주면 된다. ln -Tfs [변경될 원본 파일] [링크 파일]
본 글은 centos 7을 기준으로 작성된 글 입니다. Ansible이란? (서버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굉장히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ansible은 여러 linux 장비에 동일한 명령을 수행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명령어 한줄만 수행하면, 모든 장비에서 동일한 명령을 수행한다. 고로, 장비 관리가 매우 편리해진다. 설치 yum install ansible 사용법 /etc/ansible/hosts 파일에 host정보를 등록한다. 등록 양식은 아래와 같다 ansible_host= ansible_user='' ansible_ssh_pass='' ansible_connection='ssh' (ssh 접속임을 명시, 다른 접속 방식은 확인하지 못함) ※ 에 적힌 내용을 기재하되, 꺽쇠기호는 빼도록 한다. 만약, ..
다음은 centos 기준입니다 1. yum -y install ntpdate (ntpdate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2. ntpdate time.windows.com (시간 서버는 ms의 윈도우 ㅋㅋㅋ) 3. 확인 방법 : date ntpdate를 이용한 시간 동기화입니다. VM등을 오랜만에 실행하면 호스트와 시간이 안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쓰시면 되겠습니다. (맨날 헷갈려서 메모)
centos7은 방화벽 설정시 firewalld라는 패키지(?)를 이용합니다. centos6의 경우 iptables였으며, 둘의 사용법은 다릅니다. 매번 찾기가 귀찮아서 여기다가 메모해두려고 합니다. 포트 허용1. firewall-cmd --permanent --zone= --add-port=/tcp : 포트 열기, 이 때, --permanent 옵션을 지정해야만 리부팅 시에도 설정이 동일하게 적용됨. ex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80/tcp2. firewall-cmd --reload : firewalld 재시작(=설정 적용)3. firewall-cmd --list-all-zones : 확인 포트 제거1. firewall-cmd -..
(당연히, 인터넷 속도 체크하는 페이지 들어가서 해도 됩니다) 우선 이 방법에는 장비 2대가 필요합니다. 하나는 서버, 하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죠. 방법 1. yum -y install iperf3 (두대 다 설치)2. (서버 역할) iperf3 -s3. (클라이언트 역할) iperf3 -c 그러면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타납니다.만약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서버쪽 장비의 5201 포트를 열어두시기 바랍니다.
centos7 이미지를 컨테이너로 생성하면, 컨테이너 내부에서 systemctl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습니다.원인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생성시]docker run -it centos:7 /sbin/init [컨테이너 내부로 접속할 시]docker exec -it [컨테이너명 || 컨테이너 id] bash 로 접속하면 내부에서 systemctl 명령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및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lice_k106&logNo=220395077738&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흔히 발생하는 상황은 아니지만, 파티션의 파일시스템을 변경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주의사항은 파일시스템을 변경할 경우, 해당 파티션은 반드시 포맷이 된다는 점입니다.부득이하게 파일시스템을 변경해야하는 경우, 중요한 파일은 반드시 백업해 놓으시기 바랍니다.마지막으로 / 디렉토리는 파일시스템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이유는 장치를 언마운트 하는 순간 시스템이 먹통이 되면서 대부분의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물론 안전모드(?)로 부팅하면 다를지도 모릅니다만, 확인해보지는 않았습니다) 파일시스템 변경 방법1. 'df -T' 명령어를 통해 파일시스템을 변경할 파티션의 디바이스명을 확인. - 이 때, filesystem 이라고 되어 있는 항목이 디바이스 명이다. (보통 '/dev/~~'이런식..
아래는 centos7기준입니다.다른 버전의 리눅스에서는 다를 수도 있습니다. 1. umount /변경 대상 파티션명 (파티션을 unmount)2. vim /etc/fstab 의 파티션명 변경 - 예를들어 아래의 사진에서 '/home' 파티션의 파티션명을 'rename'과 같이 변경하고 싶다면, '/home'이라고 된 내용은 '/rename'으로 변경하면 된다. 3. rm -rf /기존 파티션명4. (최상위 경로에서) mkdir 변경할 파티션명5. mount -a (전체 파티션을 mount 하는거 같다) 리눅스의 파티션은 '/' 경로에서 일종의 디렉토리처럼 관리되는거 같습니다. (따지고보면 windows에서도 아이콘만 특이한 디렉토리인거 같지만)그래서 파티션을 unmount한 다음 파티션 명을 변경하는 식..
리눅스에서 환경변수 설정을 할 때, alternatives라는 명령어를 이용하면 쉽게 설정 또는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시는alternatives --install 입니다. 예를 들어 JAVA 환경변수를 지정한다면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 java [실제 설치된 경로] 100이런식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용어 설명link : 환경변수가 저장되는 경로인거 같습니다. 저는 /usr/bin/ 에다가 저장하고 있습니다.name : 환경변수 명path : 실제 파일 경로이며, 디렉토리가 아닌 파일명을 명시해야 합니다. (jdk/bin/java 또는 jdk/bin/javac 같이)priority : 우선 순위인거 같은데 대충 100정도 주고 씁니다. 값의 범위는 잘 모르..